|
지난 27일 코트디부아르전 도중 상대 수비수와 충돌, 교체아웃된 김승용 선수의 최종진단이 나왔습니다. 오른쪽 7∼8번 갈비뼈 사이의 연골이 골절됐다는군요. 박성화 감독은 대체선수로 교체하는 대신 '집중치료'를 통해 김승용 선수를 올림픽 본선무대에 데리고 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|
|
4-4-2포메이션을 쓰고 있는 현 올림픽대표팀에서 왼쪽 윙 미드로 뛰고 있는 김승용 선수는 '주전'이자 전력의 '핵'이었습니다. 최전방 투톱인 박주영-이근호 선수와는 일찍이 고교시절부터 호흡을 맞췄죠. 이근호 선수와는 부평고 시절 동기로 당시 전국대회 3관왕에 오르며 '부평고 돌풍' 주역으로 빛난바 있습니다. 박주영 선수와는 2004년 U-19대표팀에서 함께 최전방 공격수로 활약하며 아시아청소년대회 우승컵을 거머줬고 이듬해 U-20월드컵에서도 발을 맞췄습니다. 게다 이들의 호흡은 소속팀 FC서울에서도 계속 됐죠. 이처럼 올림픽대표팀 선수들과 청소년대표 시절부터 함께 뛰었던 김승용 선수의 부상은 많은 우려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.
일단, 올림픽이 얼마남지 않는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'조직력'입니다. 우리보다 전력이 한 수 위인 팀을 상대로 할 때, 승산은 '약속된 플레이가 얼마나 제대로 이뤄지느냐'에 있습니다. 때문에 김승용 선수처럼 부상으로 인해 전력 이탈 상황이 발생할 시에는 제대로 된 조직력을 갖추기가 힘들어지죠. 결국 '전력강화'에서 시나브로 '전력약화'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 김승용 선수가 시합을 앞두고 기적적으로 완쾌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지만 이또한 하나의 가능성에 불과하므로 걱정은 여전히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.
그러나 김승용 선수 뿐 아니라 다른 선수들 역시 부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몸입니다. 훈련 도중 발생하는 크고 작은 태클 등으로 인한 부상 위험은 언제고 있습니다. 올림픽대표팀 코칭 스태프들 역시 갑작스런 부상으로 인한 전력누수를 심히 걱정하는 눈치입니다. 오늘도 훈련을 지켜보고 있던 중 김진규 선수가 넘어진 뒤 좀처럼 일어나지 못했습니다. 다들 걱정스런 시선으로 그를 지켜봤는데, 다행히 가벼운 타박상이더군요. 덕분에 모두들 한숨을 휴, 내쉬었죠.
|
현재 올림픽대표팀 선수들의 몸놀림은 가볍고 경쾌합니다. 파주NFC에서 훈련이 계속될 수록 점점 올림픽대표팀 특유의 색깔이 나오기 때문입니다. 베이징올림픽 공인구에도 어느새 익숙해졌습니다. 하지만 축구계에서는 "가장 몸상태가 좋을 때 조심해야한다"는 속설이 있습니다. 부상은 바로 한껏 올라올대로 올라온 컨디션에 고무돼, 마음을 푹 놓고 있을 때 갑자기 찾아온다는 이야기입니다. |
|
잘 차려진 밥상 앞에서 이제 한 숟가락만 뜨면 될 상황입니다. 한데 바로 그 순간 부상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탈락하게 된다면 그것은 스스로 뿐 아니라 올림픽대표팀 전체에게도 손해이자 슬픔입니다. 따라서 우리 선수들은 마지막 순간까지 부상을 조심하고 또 조심하며 베이징올림픽 메달을 향한 장도에 올랐으면 합니다.
|
|
|
'헬레나의 꿈의 구장 > World Footb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전문가들이 진단한 축구대표팀의 문제점 (3) | 2008.09.04 |
|---|---|
| 축구계의 '원더걸스' U-17여자대표팀 (2) | 2008.09.02 |
| 관중들이 놓친 온두라스전 뒷풍경은? (158) | 2008.07.26 |
| 장대비속에서도 올림픽대표팀 훈련은 계속된다 (115) | 2008.07.25 |
| 오늘보다 내일 더 빛날 여자축구대표팀 (2) | 2008.07.23 |